본문 바로가기

투자, 재테크

평생 망하지 않는 주식 투자법 - 천장팅(주식투자의 지혜)

주식투자의 지혜 - 천장팅

이 책은 강환국 작가님이 극찬을 하셔서 읽게 되었습니다.
읽고 나서 내용이 너무 좋아서 3번을 반복해서 읽은 책입니다.
이유는 천장팅 작가님이 쉽게 쓰기도 했고 잘 쓴 책이 그렇듯이 '이건 해보면 진짜 되겠는데?'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실전에 적용 가능한 것들만 모아서 정리한 책이기 때문입니다.

주식투자의 지혜라는 이 책은 중국에서 엄청난 인기를 얻고 한국에 출간되었지만,
추천사를 홍진채, 윤지호님이 작성하셨 듯이 한국에서도 전문가들은 이미 알고 인정한 책입니다.
천장팅 작가님은 월스트리트에서 커리어를 시작하여 30년 투자 생활을 한 경력으로 보나 성과로 보나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인물입니다.

천장팅님은 공부는 얇은 책으로 시작하여 두꺼운 책으로 갔다가 얇은 책으로 돌아온다
라고 하십니다. 
공부를 하면 할수록 공부할 것이 많아지지만 결국 돌고 돌아 핵심적인 지식 혹은 지혜만 
사용하여 투자를 한다는 말 일 것입니다.

많은 것을 공부 했다고 하더라도 자신에게 효과 있었던 몇가지 방법만을 반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책에서도 기본적 분석, 기술적 분석, 심리를 아주 간단하게 축약해서 설명합니다.

기술적 분석은 변곡점을 찾는 것, 현재 추세를 파악하는 것이 전부입니다.
시중에 나와 있는 책에는 봉, 캔들, 다양한 패턴 등등을 소개 해서 암기 할 내용이 많은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에는 현재 추세가 상승인지 하락인지 파악하고 변곡점 찾기 즉, 지지선과 저항선을 찾아서 그 지점에서 매매 하는 것이 전부입니다.

추세를 파악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상승추세는 저점끼리 연결 했을 때 상승하는 추세이면 상승 추세입니다. 
상승세일때 거래량은 상승시 많고 하락때 적어야 합니다.
하락추세는 그 반대입니다. 고점을 연결 했을 때 하락하는 추세이면 하락 추세입니다.

이평선으로 추세를 파악하기도 합니다. 
저자는 장기 추세는 200일 이평선으로 파악하고
중기 추세는 50일 이평선으로 파악합니다.

200일 이평선 아래에 있는 주식은 매수하지 않습니다.

시장이 200일 이평선 아래에 있다면 어느주식이라도 매수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주식이 200일 이평선 위에서 안정적으로 순항한다면 매도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스탠와인스타인의 30주 MA와 유사한 지점이라 흥미롭습니다.

변곡점은 저항선과 지지선입니다. 
저항선은 보통 단기 고점, 중기 고점, 전 고점 입니다. 매물벽이 단단하면 저항선의 의미가 더 크다고 보면 됩니다.
이 지점까지 가격이 올라오면 저항선 지점에 물려있던 많은 사람들의 매물이 나옵니다.
웬만한 거래량이 아니라면 저항선을 뚫기는 힘들기 때문에
저항선이 돌파 되는 것은 큰 거래량을 동반하며 의미도 상당합니다.
그래서 주식을 선택할 때 기왕이면 위에 저항선이 적은 주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저항선을 돌파 했다고 하더라도 곧 위에 저항선이 또 하나 있다면 
그곳에서 주춤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성장주 투자자들이 사상 최고가 돌파 종목, 52주 신고가 돌파 종목을 좋아하는 이유가 이것입니다.

지지선은 반대로 단기 저점, 중기 저점, 전 저점 입니다.
이 지점에 가격이 오면 저가 매수 기회를 놓쳤던 사람들의 매수세가 들어옵니다.
그래서 강한 매도세가 아니면 이 지점에서 가격은 지지를 받고 다시 올라갑니다.
하지만 두터운 매물벽으로 방어 되던 지지선이 무너진다면 다음 지지선까지 하방이 열렸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지선이 하향 돌파 되면 저항선이 되고 저항선이 상향 돌파 되면 지지선이 됩니다.
지지선 하향 돌파 시에는 많은 거래량이 실리므로 그 가격대에 매수한 사람들이 많다는 의미이고
다시 반등했을 때 원금 회복을 노리는 매도세가 많이 나옵니다.
저항선이 상향 돌파 되면 그때 팔았던 많은 매도자들이 올라간 가격을 보고 후회하면서 
눌림목을 기다리다가 자신들이 매도한 가격 근처에서 재매수를 하므로 지지선이 되는 것입니다.

차트 패턴은 딱 4가지만 알면 된다고 말합니다.
이중 천장, 헤드앤숄더, 이중 바닥, 역헤드앤숄더가 그것입니다.
차트패턴도 사실은 지지와 저항입니다. 
패턴에 나오는 지지선이 무너지면 매도점이고 저항선을 깨고 올라가면 매수점입니다.

매수 한 후에는 200일 이평선 위에서 안정적으로 움직이면 매도 하지 않고 계속 보유합니다.
이익은 길게 가져가야 합니다.
매도는 주요 이평선을 깨고 내려가거나 지지선을 깨고 내려갈 때에 매도합니다.

하락장에서는 매수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추세를 거스르고 성공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하락장이 오기 전에 상승장의 끝물에 탈출하는 것이 가장 좋긴 합니다.
특히 거래량은 많은데 더 이상 가격이 상승하지 않으면 꼭지의 신호이니 탈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본적 분석은 종목을 선택하는 데에 사용합니다.
먼저 주도 업종을 파악합니다. 주도 업종 내에서도 주도주가 무엇인지 파악합니다.
시장의 흐름은 상승추세인지 파악합니다. 개별 종목 선정은 윌리엄 오닐의 CAN SLIM 종목 선정법과 유사합니다.
개별종목은 이익이 증가하는지, 신제품 등 모멘텀이 있는 지를 주로 봅니다.
이렇게 기본적 분석으로 선택한 종목을 시장이 상승추세 일때만
기술적 분석으로 매수 타이밍을 정하여 들어갑니다.

항상 매매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

돈을 벌 확률이 높은 경우에만 매매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버는 것보다는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입 하기 전에 손절점을 정하고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이익이 발생했다면 꼭 손절점을 원금 이상 지점으로 올려 놓아야 합니다.


그리고 한번에 모든 돈을 들어가는 것도 너무 위험합니다.
저항선을 돌파할 때 일부 매수하고 눌림목에서 일부 추가 매수 하고
시장이 정상적으로 흘러가면 더 추가 매수 하면 됩니다.

대략 20%씩 나눠서 하면 됩니다.

 

매수하는 주식의 수도 조절 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트레이더들은 한번 손절할때 자신의 전체 포지션의 2%를 잃지 않을 정도의 자금규모로

매수하는 주식의 수를 정합니다.

한번에 큰 돈을 벌려는 것은 욕심입니다.

파산 할 확률이 있다면 그 거래는 좋은 기회라도 잡으면 안됩니다.
꾸준히 조금씩 벌면 결국 목표를 이룰 수 있습니다.


매도도 꼭지에서 팔려고 하면 안됩니다.
아무런 이유 없이 이익이 나고 있는 포지션을 정리 하면 안되지만 
위험 신호가 포착되면 팔고 나가야 합니다.

리스크 관리가 역시 가장 중요합니다.

반응형